반응형
수확 가속의 법칙 또는 수확 체증의 법칙이라고 하는 이 용어는 특이점과 연관되어 잘 나옵니다.
미래 학자인 레이 커즈와일의 저서에서 개념을 도입했습니다.
수확 체증은 생산에 있어 투자하는 생산 요소가 점점 적어지는 현상이라고 하는데, 이것이 현재의 기술 발전의 모습과 유사한 것이죠. 점점 더 빨라지는 기술력 발전을 직접 느끼고 있는 우리라면 공감이 됩니다.
그래프로 표현하면 마치 지수 함수처럼 점점 증가폭이 늘어나는 형태입니다.
즉 가면 갈 수록 조금의 발전(투자)여도 기하급수적인 결과를 내놓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.
이 개념은 기술 발전에서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경영자들이 이해하고 있기도 한다고 합니다.
수확 체증의 법칙은 경제학에서 언급되는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을 바탕으로 하고있다고 합니다.
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은 재화를 추가로 썼을 때 느끼는 효용이 소비량을 늘려감에 따라 이전에 비해 감소한다는 것입니다.
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은 재화를 추가로 썼을 때 느끼는 효용이 소비량을 늘려감에 따라 이전에 비해 감소한다는 것입니다.
이는 아마도 우리가 신기술이 탑재된 제품을 처음 썼을 때의 기분이 업그래이드된 같은 기술을 탑재한 새 제품을 사용했을 때 보다 더 큰 것과 같은 느낌인 것 같아요.
더 자세한 글을 읽고 싶으시다면 이 분의 블로그로 가보세요!
반응형
'IT시작! > 알면 멋진 것들 + 흥미로운 무언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윈도우 균형 조절과 고성능의 차이점 (0) | 2018.09.15 |
---|---|
다트머스 학술회의 (0) | 2018.08.17 |
한글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 "아희" (0) | 2018.05.06 |
인터넷의 시작! (0) | 2017.11.02 |
부팅(booting)의 어원~! (0) | 2017.10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