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기본 사용법.
변수명 = []
변수명 = [값1, 값2, 값3, ...]
변수명 = list(튜플 자료형)
리스트는 [ ]으로 둘러싸여 값들이 , 로 구분되어 저장이 됩니다.
3번째 처럼 튜플 같은 다른 자료형을 list함수로 변환 시켜 리스트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.
리스트안에 리스트를 넣는 것이 가능합니다.
[1,[2,3],4] 2차 리스트라고 합니다.
리스트 역시 튜플과 같이 리스트끼리의 더하기, 정수배 곱하기가 가능합니다.
list = [1,2,3]
list2 = [6,5,4]
list3 = list + list2
print(list3)
-> [1,2,3,6,5,4]
list = [3,0,0]
list2 = list*3
print(list2)
-> [3,0,0,3,0,0,3,0,0]
+Unpacking
저장된 값 수정 - 리스트 함수.
리스트는 튜플과 다르게 안의 값들을 수정 할 수 있습니다.
list = [1,2,3,4,5]가 있다고 합시다.
인덱스 번호를 사용하여 특정 위치의 값을 바꿔줄 수 있습니다.
list[1] = 8 을 해주면
-> [1,8,3,4,5]로 1인덱스 자리의 값이 바뀌게 됩니다.
이런 방법은 값의 변경밖에 되지 않습니다.
그렇기 때문에 삭제, 추가, 리스트 확장 같은 작업은 리스트 함수를 이용합니다.
- append(값) -> 리스트 끝에 값을 추가
-
extend(자료형) -> 인수값으로 리스트, 튜플, 사전형을 넣을수 있다. 인수값안의 값을 차례로 리스트의 끝에 하나씩 추가해 넣어준다.
-
insert(인덱스, 값) -> 특정 인덱스 위치에 값을 추가해 준다.
- remove(값) -> 특정 값에 해당하는 것을 찾아 삭제한다.
- 중복되어 같은 값이 리스트에 저장되어있다면 앞에 값이 삭제된다.
- pop(인덱스) -> 특정 인덱스에 해당하는 위치의 값을 반환 후 리스트에서 삭제한다.
- 특정 인덱스값을 넣지 않으면 리스트의 마지막 인덱스로 자동 지정된다.
- clear() -> 리스트의 모든 값을 삭제하여 빈 리스트만 남긴다.
- count(값) -> 리스트에서 일치하는 값의 개수를 반환.
- index(값) -> 리스트에서 일치하는 값의 인덱스 번호를 반환.
- reverse() -> 리스트안의 모든 값을 뒤집어 나열한다.
-
sort(False/True) -> 리스트의 값을 오름차순(False), 내림차순(True)정렬 한다.
- 인수값을 넘기지 않을 경우 기본적으로 False(오름차순)
반응형
'코딩 > Python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재귀함수 [Python] (0) | 2018.06.06 |
---|---|
2차 리스트 [Python] (0) | 2018.05.28 |
튜플 [Python] (2) | 2018.05.11 |
입력 input()함수 + Packing, Unpacking [Python] (0) | 2018.05.06 |
제어문 - for, while [Python] (0) | 2018.05.06 |